
요즘 뉴스나 주변 대화에서 “상생페이백”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거예요.
카드만 써도 돈을 돌려받는다고 하는데, 막상 검색해보면 정보가 여기저기 흩어져 있어서 헷갈리죠.
“누가 받을 수 있는 거지?”, “얼마나 돌려주는 거야?”, “어디서 써야 인정이 되나?”
이런게 제일 궁금하잖아요.
그래서 오늘은 상생페이백에 대해 정책 설명 그대로, 하지만 이해하기 쉽게 한눈에 정리해드리려고 합니다. 이제는 검색 따로 안 하셔도 될 거예요. 바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상생페이백, 이거 왜 이렇게 인기일까?
25년 하반기, 정부가 소비 진작과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새롭게 내놓은 ‘상생페이백’!
이거 이거, ‘카드 쓰기만 하면 돌려준다!’는 소리에 궁금해서 검색해보게 되는 거죠. 실제로 어떤 혜택이 있는 건지, 언제부터 어떻게 신청하는 건지 궁금할 때 딱 검색하게 되는 서비스랍니다.
상생페이백이란?
간단히 말하면, 작년보다 카드로 더 많이 쓴 만큼 일정 비율을 환급해주는 지원제도
- ** 대상 기간**: 2025년 9월 ~ 11월
- 환급 기준: “지난해 월평균 카드 사용액”보다 더 쓰면, 초과금액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돌려줌
- 월마다 최고 10만 원, 3개월 합산 최대 30만 원 한도
- 예시: 작년 월평균 카드 사용이 100만 원이었다면, 10월에 130만 원 사용 시 → 증가분 30만 원의 20% → 6만 원 환급
돌려주는건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이고, 이걸로 전통시장 같은 곳에서 소비할 수 있어요. 전국 약 13만 개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
누가, 어떻게 받을 수 있나요?
환급 대상은?
- 만19세 이상 (25년 말 기준, 06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 2024년 신용·체크카드 실적이 있는 대한민국 국민 또는 외국인
- 본인만 신청 가능 (대리 신청 안 돼요)
신청 방법은?
- 온라인: 2025.9.15. 오전 9시 ~ 11월 30일 자정까지, 상생페이백 공식홈에서 한번만 신청
- 오프라인: 전통시장 상인회, 소상공인지원센터, 지방 중기청, 주요은행 영업점에서도 신청 가능 (9월 15일~11월 28일 평일 기준)

참고로, 출생연도 끝자리 5부제로 9월 15~19일에 일부 제한, 9월 20일부터는 모두 신청가능
★고객센터: 1533-2800
어디서 써야 환급 기준에 포함되나요?
환급 대상 소비는 국내 신용·체크카드 소비, 삼성/애플페이 포함이에요. 다만 일부는 제외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해요
제외되는 곳:
- 백화점/아울렛/대형마트/기업형 슈퍼마켓/대형 전자제품 매장/국내외 대기업 프랜차이즈 등 직영 매장
-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사용한 금액
- 키오스크나 테이블오더처럼 매장 내 카드 단말기 아닌 방식은 제외 (반드시 카드 단말기 사용)
하지만, 연 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매장, 전통시장, 상인회 매장 등에서 쓴 금액은 모두 포함돼요. 직영점만 아니라면 대부분 인정된다고 봐도 됩니다
얼마나 돌려받나요?
- 초과 소비 금액의 20%를 돌려받아요.
- 한 달 최고 10만 원, 총 3개월 최대 3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어요
- 예시: 작년 평균 100만 원 → 이번달 130만 원 사용 → 30만 원 초과 → 20% 환급 → 6만 원 상품권 지급
언제까지 신청하고, 언제 받을 수 있나요?
- 신청 기간: 2025년 9월 15일 오전 9시 ~ 11월 30일 자정 (첫주는 5부제)
- 환급 방식 및 시기:
- 9월 소비 → 10월 15일부터 (순차적으로) 지급
- 10월 소비 → 11월 15일 지급
- 11월 소비 → 12월 15일 지급 (11월 늦게 신청해도 소급 처리 가능)
- 상품권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5년간 사용 가능
상생소비 이벤트(상생소비복권)
- 9.15(월) ~ 10.12(일)까지 상생페이백 신청 시 상생소비복권 자동 응모
- 8.1 ~ 10.12까지 누적 결제액 5만원당 1장, 최대 10장 응모 가능
- 추첨을 통해 2,025명에게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총 10억원 지급
- (1등) 20백만원 10명, (2등) 2백만원 50명, (3등) 1백만원 600명, (4등) 10만원 1,365명
- 1등은 비수도권에서 누적으로 5만원 이상 카드 결제한 실적이 있는 경우 선정, 2등 이하는 지역 구분 없이 추첨을 통해 선정
상생페이백 요약표
| 항 목 | 내 용 |
|---|---|
| 대상 기간 | 25년 9월~11월 카드 사용 |
| 환급 기준 | 전년 월평균 초과분의 20% |
| 한도 | 월 최대 10만 원 / 총 30만 원 |
| 환급 방식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
| 신청 기간 | 9/15 ~ 11/30 (첫주만 5부제) |
| 지급 시기 | 사용 다음 달 15일 경 |
| 유효기간 | 상품권 지급일로부터 5년 |
상생페이백 정리하며…
여기까지 읽으셨다면 상생페이백이 왜 요즘 핫한지 감이 딱 오실 거예요.
결국 핵심은 지난해보다 조금만 더 쓰면, 그만큼 혜택이 돌아온다는 거죠.
저도 보니까 평소에 쓰던 카드 소비 패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도,
전통시장이나 소상공인 매장에서 쓰면 꽤 쏠쏠하게 돌려받을 수 있겠더라고요.
👉 3가지로 정리하면,
- 9월 15일에 꼭 신청하기
- 어디서 쓰면 인정되는지 확인하기
- 환급일(다음 달 15일) 놓치지 않기
이 세 가지만 기억해도 상생페이백, 제대로 챙기실 수 있습니다.
이번 기회에 지역경제살리고 내 지갑도 지키는 1석 2조 혜택, 놓치지 마세요! 🙌